Gram 양성 세균 |
![]() |
1. Gram 양성, 구균(Section 12) |
- Micrococcus속
- Staphylococcus속
- 비운동성의 세포가 포도송이 모양의 균괴 형성(포도상구균)
- 통성혐기성, 생육에 일부 아미노산과 비타민을 요구
|
 St. aureus의 전자현미경사진 |
 |
 St. aureus 집락(황색) |
- St. aureus
- coagulase(혈액응고효소) 양성, 황색∼주황색 집락, 생육에 유기질소원 요구
- 10% 식염 중에서도 잘 생육
- 대표적인 화농균, enterotoxin을 생성하는 식중독(독소형)의 원인균
- St. epidermidis
- 비병원성, 동물(사람의 피부), 우유, cheese, 기타 양조물 등에서 분리
|
- Streptococcus속
- 긴 연쇄상, 때로는 쌍구균
- 물, 공기, 우유, 동물의 배설물 및 자연계에 널리 분포
- Str. pyogenes
- 사람에게 후두염과 성홍열의 원인균, β-용혈을 일으키는 용혈균
Streptococcus pyogenes의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
- Str. faecalis
- 생육온도 범위 : 5∼8℃에서 48∼50℃
- 저온살균에서도 생존, 내염성(식염 6.5% 이상에서도 생육), pH 9.6에서도 생육
- 장내세균(장구균), 사람이나 동물의 장관에 서식
- 유산균 제제, 미생물 정량에 이용, 배설물에 의한 식품오염이나 공장의 위생상태의 지표로 이용
.jpg) |
Streptococcus faecalis의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좌)과 그램염색 사진(우) |
 |
- Str. faecium
- Str. faecalis와 비슷한 장구균, 식물에서 유래되는 경우가 많음
- Str. lactis, Str. cremoris
- 용혈성 없음, 10℃에서 생육, 45℃에서 생육 불가능, 생육과 산 생성 최적온도는 30℃
- 식염 내성 2∼4% 정도
- 유제품의 주요 유산균(Homo형), 치즈나 일부 요구르트 제조시의 starter로 사용
- Str. thermophilus
- Homo형 유산균, 고온균(10℃ 이하에서 생육 불가 45℃에서 생육 가능)
- Lactobacillus bulgaricus와 혼합배양으로 요구르트의 제조에 이용
- 혈액한천배지에서 집락 주위에 녹색의 α-용혈을 나타냄
 |
Streptococcus lactis(좌)와 Streptococcus thermophilus(우)의 주사 전자현미경 사진 |
 |
- Str. diacetilactis
- 유산균(Homo형), 구연산을 분해하여 우유발효시 향기성분인 diacetyl 생성
|
- Leuconostoc속
- 당액, 야채, 과일 등 주로 식물계에 분포, 우유에서도 발견됨
- Hetero형 유산균(het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 Leuc. mesenteroides
- 설탕에서 점질물 dextran 다량 생성, 제당공장의 pipe를 막히게 하는 유해균
- 내염성 : 김치 등의 발효초기에 생육하여 다른 세균의 생육을 억제
- 내당성 : 당도가 높은 시럽, 아이스크림 믹스 등에서도 생육
- 치즈에 번식하여 발생하는 CO2 가스로 구멍을 형성
- Leuc. dextranicum, Leuc. citroverum
- 우유 중의 citric acid를 발효해서 방향성분인 diacetyl 생성
- Str. cremoris 등 유산구균의 생육을 촉진, butter milk, butter cheese의 starter로 이용
|
- Pediococcus속
- 4련구균, catalase 음성, 미호기성∼통성혐기성, 내염성, 저온에서도 생육
- Pe. halophilus
- 간장, 된장, 김치, 침채류 등의 숙성에 매우 중요한 Homo형 유산발효균
- 내염성균(20% 이상의 식염에서도 생육가능)
- Pe. cerevisiae
|
 | |
2. 내생포자 형성 간균과 구균(Section 13) |
속 |
영양세포의 형태 |
특징 |
GC 함량(mole %) |
Bacillus |
간균 |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 catalase 생성 |
32∼69 |
Clostridium |
간균 |
편성혐기성, 발효, 황산염 환원 않음 |
38∼40 |
Sporolactobacillus |
간균 |
미호기성, catalase 생성 않음 |
24∼54 |
Desulfotomaculum |
간균 |
편성혐기성, 황산염 환원 |
37∼50 |
Sporosarcina |
구균 |
편성호기성 |
40∼42 |
- Bacillus속
- 자연계(특히 토양)에 널리 분포, 대부분 주모성 편모, 내생포자 형성
- 호기성(catalase 양성), 그램양성, 간균
- B. subtilis(枯草菌)
- 내열성 amylase, protease 분비, 효소생산에 이용
- 밥, 빵 등의 부패균
 Bacillus subtilis
|
- B. natto
- 청국장(납두) 제조에 이용, B. subtilis의 biotin 요구성 변종
- B. megaterium(巨大菌)
- 토양에 많이 존재, 대형의 균, 비타민 B12를 생성
- B. cereus
- 토양에 많이 존재, 단백질, 지방의 분해 활성이 높으며 식중독 원인균
- B. polymyxa
- B. brevis
 Bacillus brevis
|
 Bacillus cereus
|
 Bacillus megaterium
|
- B. coagulans
- 고온균, 산패식품, ensilage에서 자주 발견, 강한 유산 생성능
- 통조림 변패의 하나인 flat sour의 원인
- B. stearothermophilus
- 고온균(최적온도 50∼65℃), flat sour의 원인
- B. anthracis(炭疽菌)
- 가축, 사람의 탄저병의 원인균(인축공통전염병균)
- B. thuringiensis
- 곤충에 대한 독성물질 생산, 미생물 농약 제조에 이용
 B. coagulans
|
 B. stearothermophilus
|
 B. anthracis
|
 B. thuringiensis
|
- Clostridium속
- 내생포자 형성, 그램양성 간균, 편성혐기성균(catalase 음성)
- 토양 중에 널리 분포, 동물, 어류, 곡물, 야채, 과일에 부착하며 2차오염으로 식품에 오염
- Cl. sporogenes
- 동물의 장관에 존재, 식품부패균, 고기, 염장고기, 소세지, 치즈, 연제품
- Cl. perfringens(Cl. welchii)
- Cl. botulinum
 Cl. sporogenes
|
 Cl. perfringens
|
 Cl. botulinum
|
 Cl. acetobutylicum
|
식품관련 주요 Clostridium속 세균
Cl. butylicum |
낙산균, 치즈, 산패우유, 전분, 된장, 간장덧, 절임, 어육소세지 |
Cl. tyrobutyricum |
치즈(가스발생) |
Cl. pasteurianum |
산패, 과실통조림 |
Cl. nigrificans |
통조림(옥수수, 시금치), 설탕, 전분, 밀가루 |
Cl. acetobutylicum |
치즈, 옥수수, 당밀, 고구마, 곡류 |
Cl. thermosaccharolyticum |
옥수수, 통조림, 설탕, 전분, 밀가루, 쌀, 초콜렛, 양송이, 면식품 |
Cl. toanum |
된장, 간장 및 입국 |
Cl. multifermentans |
초콜렛, 된장 |
Cl. sporogenes |
고기, 염장고기, 소세지, 치즈, 연제품 |
Cl. lentoputrescens |
치즈, 부패육 |
Cl. tertium |
소세지 |
Cl. bifermentans |
부패육 |
Cl. botulinum |
독소형 세균성식중독, 연제품, 햄, 소세지, 통조림, 초밥 |
Cl. pefringens(Cl. welchii) |
혼합형 세균성식중독, 우유, 어육, 냉동생굴, 연제품, 계육, 염장육, 두류통조림, 건조수프, 과일, 야채 | |
3. Gram 양성, 무포자 간균(Section 14) |
- Lactobacillus속
- 간균, 연쇄상 배열, 미호기성, 대부분 catalase 음성, 그램양성, 비운동성
- 생육에 비타민, 아미노산 등을 요구
- 대부분 Homo형 유산발효균, 일부는 Hetero형 유산발효균
- homo형
- L. acidophilus, L. bulgaricus, L, delbrueckii, L. lactis, L. salivarius, L. casei,
L. homohiochii, L. plantarum, L. leichmannii, L. xylosus, L. helveticus
- hetero형
- L. brevis, L. fermentum, L. heterohiochii, L. buchneri
- L. bulgaricus
- 당류를 발효하여 3∼4%의 유산 생성, 요구르트 제조, 정장제로 이용
- L. acidophilus
- 강한 내산성과 정장작용, 유산균 제제와 acidophilus milk(발효유의 일종) 제조에 이용
- L. casei
- L. delbrueckii
- 생육적온 40∼44℃, 유산제조에 이용, 곡류, 발효야채 등에서 흔히 발견
- L. homohiochii, L. heterohiochii
- 청주를 백탁, 산패(화락현상, hiochi)시킴
- L. plantarum
- ensilage의 주요 유산균, 내염성, 김치 숙성에 관여
 L. bulgaricus
|
 L. acidophilus
|
 L. casei
| ▣ 유산균의 발효형식
- Homo형 유산발효형 : 당을 분해하여 유산만 생산
C6H12O6 → 2CH3CHOHCOOH
- Hetero형 유산발효형 : 당을 분해하여 유산과 그 외의 물질을 생산
C6H12O6 → CH3CHOHCOOH + C2H5OH + CO2 2C6H12O6 + H2O → 2CH3CHOHCOOH + C2H5OH + CH3COOH + 2CO2 + 2H2
- 유산균의 주요 속의 특징
속 |
세포의 형태 및 배열 |
Glucose의 발효양식 |
GC 함량(mole %) |
Streptococcus |
연쇄상구균 |
Homo형 유산발효 |
34∼46 |
Leuconostoc |
연쇄상구균 |
Hetero형 유산발효 |
38∼41 |
Pediococcus |
4연구균 |
Homo형 유산발효 |
34∼42 |
Lactobacillus |
(1) 간균(보통 연쇄상) |
Homo형 유산발효 |
32∼53 |
(2) 간균(보통 연쇄상) |
Hetero형 유산발효 |
34∼53 |
- 유산균은 식품에서 유산을 생성하여 부패균, 병원균 등 유해세균의 생육을 억제하여 보존성을 높임
- 유산균을 함유한 음료(발효유, 유산균 음료 등)는 정장작용이 있음
|
4. 형태가 일정치 않은 무포자 Gram 양성 간균(Section 15) |
- Corynebacterium속
- 곤봉형 세포, Coryne형 간균(분열 후 세포가 부러지면서 V, Y, L자형으로 연결)
- 비운동성, 호기성 또는 통성혐기성, 그램양성, 무포자
- Coryne. diphtheria
- Coryne. bovis
- 우유크림의 산패(rancidity),
악취 발생 원인
- Coryne. glutamicum
|
 Coryne. diphtheria
|
 Coryne. glutamicum |
- Arthrobacter속
- 편성호기성, 토양세균, coryne형 간균, 무포자, 내건조성
- 유기물을 무기화 하는 능력이 크다.
- glutamic acid 생산, 탄화수소 자화성
|
 Arthrobacter속 |
- Brevibacterium속
- 무포자, 구형에 가까운 단간균, 보통 비운동성
- B. linens, B. erythrogenes
- 등색∼적색 색소 생성, 치즈 표면을 손상시키나 숙성 촉진
- B. lactofermentum
- 아미노산(glutamic acid, lysine) 및 핵산(IMP 등 nucleotide)
발효 생산에 이용 |
 Brevibacterium linens |
- Propionibacterium속
- Gram 양성, catalase 양성, 비운동성, 단간균 또는 구균, 혐기성
- 사람, 동물의 장관에서 발견
- 당류나 유산을 발효해서 propionic acid 생성
- Propionibacterium shermanii
- Swiss cheese의 숙성에 관여(CO2 발생으로 많은 구멍을 만듬)
- 비타민 B12 생산에 이용
|
 Propionibacterium속 |
- Bifidobacterium속
- Bifidobacterium bifidum(Lactobacillus bifidus)
- 당을 발효해서 젖산, 초산 등을 생성
- 모유영양아의 장내에 특히 많고 이유 후에는 소실
|
 Bifidobacterium속 | |
5. 방선균과 관련 미생물 |
- 균사형 세균, 원핵세포 구조, 균사 직경 1㎛ 정도,
세포벽 성분은 그램양성균과 비슷
- Streptomyces속
- 달걀, 우유, 어류 등에 번식하면 흙 냄새를 내면서 쓴맛이 나게한다.
- 항생물질 생산, 강력한 단백질 분해효소 생성, 포도당 이성화효소 생성
출처 : http://anu.andong.ac.kr/~hysohn/FM_ch3.htm |
 Streptomyces속 |
 Streptomyces속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