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ylase
(AMS)
1.“Amylase”란?
1)Amylase는 합성분비 되는 장소에 따라 췌장 Amylase와 타액 Amylase로 구분한다
2)소화효소의 하나로 Starch , Glycogen 등의 다당류를 Maltose등의 이당류로 가수분해하는 작용이 있다
3)사람에게는 α-Amylase만이 존재하며, α-Amylase는 1분자중에 적어도 1당량의 Ca+2을 함유하며,
Cl-에의해 활성화된다
2.Amylase의 다당류 가수분해 과정
; 타액선에서 분비된 타액 Amylase에 의해 Starch의 대충 분해후 → 췌장에서 분비된 췌장 Amylase에
의해 Starch를 완전히 분해 → 이당류인 Maltose화 된다 → Maltase에 의해 → Glucose로 가수분해 된다
3.Amylase의 분류
1)α-Amylase
⑴Starch (전분) → Maltose , Glucose로 가수분해
⑵동물 , 식물 , 미생물 등에 널리 존재한다
⑶사람에게는 α-Amylase만 존재한다
2)β-Amylase
⑴Starch (전분) → Maltose 단위로 가수분해
⑵식물에 존재
3)γ-Amylase
; Starch (전분) → Glucose 단위로 가수분해
4)Amylase Isoenzyme
4.Amylase의 성질
1)Amylase 분비 촉진 Hormone : Pancreozymin
2)최적 pH 7.0
3)기질
⑴타액 Amylase : 감자 전분에 친화성이 높다
⑵췌장 Amylase : 옥수수 전분에 친화성이 높다
⑶올리고당을 기질로 사용하면 친화성의 차이는 거의 없다
4)활성제
⑴Cl- , Br- , Ca+2 , I2- , ... ... ... 등 음이온이 많다
⑵Cl-는 과량 사용할 때 저해제로 작용 하므로 주의 (0.01M = 10mM 정도 사용)
5)저해제
⑴EDTA , Citrate , Oxalate , NaF 등의 항응고제
⑵Urea , Lipemic Serum
⑶위의 물질들은 Ca+2을 제거시킴과 동시에 활성을 방해한다
5.정상치 : 8~160 Unit
1)Urine : 40~240 Unit/㎖
2)Serum : 60~180 Unit/㎗
6.Amylase Isoenzyme
1)정상혈청중의 Amylase를 한천겔 전기영동에 걸면 S형 (Salivary)이라 불리우는 타액선 유래의 밴드와
P형 (Pancreatic)이라 불리는 췌장 유래 밴드로 분획된다
2)S형은 Pre-γ위치, P형은 Fast-γ위치로 영동한다
7.임상적 의의
1)타액 Amylase (S형 Amylase)
증가 |
감소 |
타액선 질환 이하선염 수술 후 신부전 |
하악부나 악부의 방사선 치료 후
|
2)췌장 Amylase (P형 Amylase)
증가 |
감소 |
급성췌장염 위염 십이지장 궤양 신부전 |
만성췌장염 췌장암의 말기 간경변 당뇨병 |
8.혈청으로 Amylase 측정시 주의사항
1)혈청 Amylase는 실온에서 1주일간 , 4℃에서 수주일간 안정하다
2)타액의 흡입시 혈청치가 70배까지 상승하므로 Pipetting할 때 타액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
3)급성췌장염 발병 후 24~30시간만에 Amylase의 농도가 최고치를 이룬다 (3일 이후에 측정하면 의의가 없다)
4)Amylase의 동태가 급속하므로 Amylase의 반감기가 짧아서 요중의 Amylase를 측정하는 것이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Amylase는 진단적 가치가 조기에 확인된다
9.Amylase 측정법
측정법 |
Amyloclastic 법 = Iodometry 법 |
Saccharogenic 법 | |
Caraway 법 |
Winshlow 법 |
Somogyi-Nelson 법 | |
원리 |
①전분 (기질)이 Amylase에 의해 가수분해된 후의 전분이 소비된 양을 옥도정기 (I2) 전분반응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 ②옥도정기 전분반응으로 정색되는 쪽이 감소한다 |
전분이 Amylase에 의해 가수분해된 후의 생성된 환원당의 양을 Folin-Wu 법으로 측정하는 방법 | |
①1단계 : 가수분해 Amylase (Serum) Maltase ↓ ↓ Starch → Maltose → Glucose
②2단계 : 옥도정기 전분반응 남은 Starch + I2 → Violet Color |
①1단계 : 계열희석 Starch + Serum → 계열희석 (Amylase)
②2단계 : 옥도정기 전분반응 남은 Starch + I2 → Brown Color
③3단계 : 종말점을 찾는다 색조변화를 확인하여 |
①1단계 : 가수분해 Amylase (Serum) Maltase ↓ ↓ Starch → Maltose → Glucose
②2단계 : Folin-Wu 법으로 환원당 측정 Alkali , Boiling ↓ Glucose + Cu+2 → Gluconic acid + Cu2+ (Folin-Wu PFF)
Cu2+ + Mo+6 → Cu+2 + Mo+4 (Blue Color) | |
시약 |
Starch Substrate * Soluble Starch : 기질 * Benzoic acid : 방부제 * NaCl : 효소 활성제 * Na2HPO4 (인산일수소나트륨) * KH2PO4 (인산이수소칼륨) 0.02N I2 용액 : 지시제 |
Starch Substrate I2 용액 |
Starch Substrate Alkaline Coppre Solution (Cu+2) 0.25% Benzoic acid : 방부제 Mo+6 (Phosphomolybdate) : 발색제 Acid sod. chloride 용액 : pH 및 전해질의 조건을 효소활성에 적당케 함 |
활성제 |
Cl- , I- , Br- , Ca+2 | ||
최적 pH |
pH 7.0 | ||
반응시간 |
37℃ , 7분 30초 |
100℃ , 30분 | |
Color |
Violet |
Brown |
Blue (Mo+4) |
파장 |
660㎚ |
|
620㎚ |
단위 |
Caraway Unit ; 혈청 100㎖가 전분과 37℃ 15분 동안 반응하여 전분 5㎎을 가수 분해할 때의 효소 활성도 |
혈청 1㎖가 가수분해 시키는 전분 용액을 ㎖수로 표시 |
Somogyi Unit ; 혈청 100㎖가 전분과 37℃ 30분 동안 반응하여 생성된 환원당의 ㎎수로 표시 |
정상치 |
Serum 60~160 Unit/㎗ Urine 17~290 Unit/hr |
Serum 8~64 Unit/㎖ Urine 8~32 Unit/hr |
Serum 40~150 Unit/㎗ Urine 43~245 Unit/hr |
비고 |
⑴Iodometry 법의 종류 ①Caraway 법 ②Winshlow 법 ③Wohlgemuth 법 ④Smith-Roe 법 |
⑴Saccharogenic 법의 종류 ①Somogyi-Nelson 법 ②Henry 법 ③Meyer 법 ④Sax 법 |
※요오드전분반응에서 Amylase의 활성치가 높을수록 반응색의 강도는 약해진다
측정법 |
Chromogenic 법 |
효소법 |
Blue Starch 법 |
Maltopentaose Hexokinase 법 | |
원리 |
색소를 결합시킨 불용성 기질를 Amylase로 가수분해시킨 후 유리되는 가용성의 색소표지 저분자 기질을 원심분리하여 상청의 가용성 색소를 비색정량하는 방법 |
기질을 Amylase로 가수분해시켜 생성된 생성물에 효소를 공역시켜 비색정량하는 방법 |
①1단계 : 가수분해 Amylase (Serum) ↓ Blue Starch → 청색 가용성 생성물 (색소결합 올리고당)
②2단계 : 원심분리 ; 청색의 가용성 생성물을 원심분리하여 상청의 가용성 색소의 흡광도를 구한다 |
Amylase (Serum) ↓ Maltopentaose (G5) → Maltotriose (G3) + Maltose (G2)
α-Glycosidase ↓ Maltose (G2) + Maltotriose (G3) → 5Glucose
Hexokinase ↓ Glucose + ATP → G-6-P + ADP
G-6-P DH ↓ G-6-P + NAD+ → 6-Phospogluconate + NADH + H+ | |
시약 |
Blue Starch : 기질 * Starch * 인산나트륨 * NaCl : 효소 활성제 * NaN3 : 방부제 0.5N NaOH : 반응정지액 |
Maltopentaose : 기질 α-Glycosidase Hexokinase ATP G-6-P DH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NAD+ |
활성제 |
Cl- , I- , Br- , Ca+2 | |
반응시간 |
37℃ , 30분 | |
최적 pH |
pH 7.0 | |
Color |
Blue (가용성 색소) |
Colorless (NADH) |
파장 |
620㎚ |
340㎚ |
단위 |
Somogyi Unit 사용 |
|
정상치 |
Serum 60~226 Unit/㎗ Urine 30~370 Unit/hr |
Serum 20~110 Unit/L Urine 1~17 Unit/hr |
비고 |
⑴Chromogenic 법의 종류 ①Blue Starch 법 ②Dy Amyl 법 ③Amylochrome 법 ④Phadabas 법 |
⑴효소법의 종류 ①Maltopentaose Hexokinase 법 ②Para-Nitrophenol Maltoheptaoside 법 |
※위의 측정방법 이외에도
* Viscosimetric 법 : 점도가 있는 전분용액이 Amylase에 의해 가수분해되면 남은 전분용액의 점도가 감소한다 (점도 측정)
* Turbidimetric 법 : 혼탁한 전분용액이 Amylase에 의해 가수분해 되면 남은 전분용액의 혼탁이 감소한다 (혼탁도 측정)
'회사 > kribb.re.kr(2007-2008)'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환원당 정량 (2) | 2009.02.20 |
---|---|
혐기성 미생물의 생장을 위한 환원 배지 조제 (0) | 2008.10.20 |
셀룰로오스 [cellulose] (0) | 2007.09.06 |
Carbohydrates and Glycobiology (0) | 2007.09.06 |
탄수화물 (Carbohydrates) (0) | 2007.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