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혈관계 약물(cardiovascular drug)은 심근(myocardium), 심장 전도계(conduction pathway), 관상동맥(coronary artery) 및 말초혈관(peripheral vessel) 등에 작용하는 것과 심 혈관계에 직접 작용하지 않지만 심혈관 질환에 사용되는 약물(예, 이뇨제)을 포함한다. 심혈관계 약물은 크게 두가지의 형태로 나누어진다. 수술전에 장기간 투여되는 약물 (chronic cardiac medication)과 술전 심혈관 치료실, 술중 수술실 또는 술후 집중치료실에서 급한 상황에서 단기간 투여되는 약물(acute cardiac medication)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주 로 경구용(oral preparation)으로, 후자는 대부분 주사용(intravenous agent)으로 사용한다. 여기서 이야기되는 심혈관계 약물에는 항부정맥제(antiarrhythmic agent)는 제외하기로 한다.
■ Chronic Cardiac Medications
- 심장 수술을 위해 대기중인 환자들은 흔히 몇가지의 경구용 약물을 복용하고 있다. 이러 한 약물의 복용을 필요로 하는 심혈관 질환으로는 울혈성 심부전, 고혈압 및 허혈성 심질환 이 있고, 만성 신부전이나 당뇨등의 동반 질환의 치료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도 있다. 술전에 투여되는 가장 흔한 심혈관계 약물은 digitalis, 이뇨제, nitrate, 베타 길항제, 칼슘 차단제, angiotensin 전환효소 억제제가 있다.
- Digitalis
Digitalis는 심근에 직접 작용하여 심근 수축력을 강하게 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고, 이와 유사한 작용을 일으키는 약물을 총칭하여 digitalis계 약물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것이 digoxin이다. 울혈성 심부전 환자에서의 digoxin은 심근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심실 내압을 감소시켜서 효과를 나타낸다. Digoxin이 심근세포막에 존재하는 Na+-K+-ATPase를 억제하여 세포내 나트륨이 점차 증가하고 칼륨은 점차 감소한다. 증가된 세포내 나트륨은 심근섬유의 니트륨과 칼슘의 교환 능력을 억제하여 근형질내세망(sarcoplasmic reticulum) 내의 칼슘이 많이 증가되어 활동전위에 의해 많은 양의 칼슘이 유리되어 심근 수축력이 항진된다. 울혈 성 심부전 이외에 심방 세동(atrial fibrillation), 심방 조동(atrial flutter) 및 발작성 심박급속 (paroxysmal tachycardia)에 사용되기도 한다.
치료범위의 혈중 농도는 0.5-2ng/ml(1.8nmol/l) 정도이고 독성은 이 양의 2-3배에서 나타 난다. 중독의 증상으로는 식욕부진, 오심, 구토, 신경계 증상 및 부정맥이 있다. 이 중 부정 맥은 상당히 위험하기 때문에 혈중 digoxin 농도를 주기적으로 추적 관찰하는 것이 좋다. 특히 칼륨의 농도가 정상범위에 있지 않으면 부정맥의 위험성이 많이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혈중 칼륨의 농도를 잘 유지하여야 한다.
수술전에 만성적으로 digoxin을 투여한 환자에서 수술과 관련하여 digoxin의 사용은 술전 중독의 증거가 없으면 수술 당일 아침에 투여하고, 수술 전후에 digoxin과 관련된 부정맥을 방지하기 위해 혈중 칼륨의 농도를 정상 범위에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Nitrates
Nitrates는 허혈성 심질환에서 오랫동안 사용되고 있는 약물로 설하정(sublingual nitroglycerin tablet)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 설하 분무식이나 첩포형(Deponit )의 지 속성 제재가 만들어 졌다. Nitroglycerin은 혈관의 내피세포에서 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의 기질로 작용한다. 산화질소는 cGMP를 생성함으로서 혈관평활근을 이완시키는 작용 을 한다. 특히 nitrogylcerin은 경화성 협착(atherosclerotic stenosis)이 있는 혈관과 부행경로 (collateral)의 혈관을 확장시키기 때문에 허혈성 질환에서 혈류를 허혈심근으로 재분배시키 는 효과가 있다.
대부분에서 부작용이 없이 투여되나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어지러움, 두통 및 체위성 저혈압 등이 있다. Nitrate는 내성(tolerance)이 흔히 발생하기 때문에 급격하게 중단하는 것 은 급성심근 허혈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이미 nitrate를 만성적으로 투여한 환자에 서 수술전 까지 지속해 주어야 한다.
- Beta-adrenergic receptor antagonist
심근에는 alpha1 수용체(alpha1 adrenoreceptor)도 존재하지만, beta1, beta2 수용체가 많 이 존재한다. 이들은 심근의 수축력과 심박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축력이나 심박수 의 증가는 모두 심근의 산소 소모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베타 수용체 길항제 (beta-antagonist)를 사용함으로서 심근의 산소 요구량을 감소 시켜 협심증의 빈도를 줄인다. 흔히 사용되는 베타 수용체 길항제는 propranolol로 당뇨나 천식 환자에서 사용이 금기시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beta1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약물(beta1 selective AR antagonist or cardioselective)이 개발되어 특히 당뇨나 천식이 있는 환자에서 장점이 있다(Table 1). 만성적으로 베타 수용체 길항제를 사용하던 환자들에게는 베타 수용체 수가 증가해있어 수술주위의 여러 가지 자극에 의한 catecholamine 에 대한 반응이 정상보다 빨리 활성화되 어 있다. 이런 자극이 협심증이나 심근 경색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전후에 베타 수 용체 길항제를 지속해 주는 것이 좋다. 중단할때는 적어도 1-2주에 걸쳐서 서서히 감량하면 서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