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관련/bacteria

Spore Forming Bacteria

ㄱ ㅐ ㅇ ㅁ ㅣ 2008. 12. 23. 23:05

Spore Forming Bacteria

 

Bacillus

‧ 물, 토양등 자연계 어디서나 존재하는 그람양성 세균

     : 일부는 사람 장의 normal flora

     : 대부분의 Bacillus는 harmless saprophytes이나

     : B.anthracis와 B. cereus는 질병과 관련이 있다.

‧ 호기성 세균으로 환경조건이 나쁠 때, endospore 형성

‧ Bacillus anthracis는 사람의 병원균으로 anthrax (탄저병)을 유발

     : Bacillus anthracis는 가축의 질병

1. Bacillus anthracis


‧ 1870년, Koch에 의하여 밝혀진 최초로 밝혀진 병원성 세균으로 (Koch's postulation)

     : 병소에서 세균을 분리하고,

     : 배양하며,

     : 다시 동물에 주사하여 같은 질병을 유발하고,

     : 그 병소에서 세균을 분리해야 한다.

                    

그림) Koch의 탄저균 original micrographs

‧ 1881년, Pasteur

     : attenuated Bacillus anthracis strain의 분리하여 vaccine 개발


1) 모양및 성질

‧ 그람 양성의 간균 으로 운동성이 없다

‧ 포자 (내생포자, 芽胞, spore)를 생성 (spore former)

     : 성장조건이 나쁜 colony의 중앙부위에서 형성 (그림)


2) 성장및 생리

‧ aerobic이며, nutrient agar에서 잘 자란다

‧ blood agar plate에서 협막을 형성

‧ spore는 heat, chemical disinfectant에 저항성이 크다


3) 항원 구조

‧ 단백질성 capsular antigen

‧ cell wall polysaccharides

‧ anthrax toxin

     : plasmid (pOX1)에 의해 생산되는 exotoxin


4) virulence factor

‧ capsule formation

     : poly-D-glutamate polypeptide

     : 식균세포의 작용에 저항하도록 하여 감염의 시작에 중요

‧ exotoxin production

     : Factor I은 edema factor (EF)로 부종을 유도 (adenylate cyclase)

     : Factor II는 protective antigen (PA)으로 수용체 결합 (receptor binding)

     : Factor III는 lethal factor (LF)로 독소의 치사작용

‧ spore formation


5) Pathogenesis

‧ anthrax (탄저병)

     : 가축과 같은 동물의 질병 (epizootic)

     : 죽은 동물이나 동물의 분비물의 접촉에 의해 우연히 사람에게 감염

‧ 네가지 종류의 탄저병

     a) cutaneous anthrax

          : 목, 얼굴등의 피부에 spore가 발아하여 농포 (malignant pustule)를 형성

          : 검은 가피 (eschar)로 발전

     b) inhalation (pulmonary) anthrax

          : spore가 있는 먼지를 많이 마신 경우 발생

          : 출혈성 페부종을 거쳐 흉막 삼출로 발전

     c) intestinal anthrax

          : 감염된 고기를 섭취한 경우 발생

          : gastroenteritis

     d) oropharyngeal antrax

          : tonsilar ulcer와 pseudomembrane을 유발


6) Diagnosis

‧ 피부 손상을 도말하여 확인

‧ blood로 부터 세균을 배양한 후, 확인


7) treatment

‧ 항생제 처리

     : ciprofloxacin, penicillin, erythromycin, chloramphenicol, tetracyclin등을 정맥주사

‧ pulmonary anthrax의 경우는 항생제 투여와 항독소 투여를 병행


8) prevention

‧ spore가 토양중에서 수년간 생존

     : 죽은 동물을 태우거나 묻는다

‧ endemic area에서는 동물의 예방주사도 필요

     : 감염의 가능성이 높은 사람은 예방접종

‧ Anthrax와 생물학전 (Biological Warfare)

     : B. anthracis 포자는 건조형태로 만들 수 있고, 수십년 보관되며, 공기 중으로 전염



2. Bacillus cereus

‧ 병원성 이외에는 Bacillus anthracis와 구별이 어렵다

‧ opportunistic human pathogen

     :  enterotoxin에 의한 식중독으로 인한 설사, 구토 (food poisoning)

     : 곡물류, 야채, 유제품등의 부적절한 냉장으로 발생


Clostridium


‧ 그람 양성의 spore를 만드는 혐기성의 간균

‧ 토양이나 동물이나 사람의 장에 서식

‧ gas gangrene, botulism, tetanus 등의 사람 질병을 유도

‧ 다양한 종류의 유기물을 발효하여 butyric acid, acetic acid, butanol , acetone을 생산하며, 많은 양의 가스 (CO2, H2)를 생산

     : 자연계에서 biodegradation과 carbon cycle에서 역할

     : 사람 감염에서 침입과 질병발생과 연관

‧ 대부분이 토양미생물 (saprophytes)이며 일부가 human pathogen

     : Clostridium tetani, Clostridium perfringens, Clostridium botulinum



 

1. Clostridium perfringens


‧ 조직에 침투하여 독소를 생산하고 발효하여 가스를 생성한다

     : 가스괴저병 (gas gangrene)


1) 모양및 성질

‧ 운동성이 없는 그람양성 간균으로 혐기성세균이며 포자를형성한다

     : aerotolerant

‧ blood agar plate에서 배양하며, 당을 발효하여 acetic acid와 butyric acid를 생산

     : 가스를 생산


2) virulence factor

‧ exotoxin

     : 11가지 이상의 독소들로

     : necrotic, hemolytic, lethal



3) Pathogenesis


a) 조직독성 질환 (histotoxic disease)

‧ 창상감염 (wound infection)

     : anaerobic cellulitis (봉와직염, 피하소성결합조직의 염증)

     : gas gangrene (가스괴저병)

          : 근육에 까지 나타난 lethal infection

          : spore의 발아와 독소의 생성으로 인하여,

          : 부종성 액체와 수소가스가 생성되어, 조직 손상

‧ 자궁감염 (uterine infection)

     : 자궁벽 괴사와 고열

     : 패혈성 유산과 장시간 진통을 유도

‧ 드물게, bacteremia, necrotizing pneumonia, meningitis를 유발


b) 독소성 질환 (enterotoxigenic disease)

‧ 식중독 (food poisoning)

     : 오염된 음식물의 섭취

     : type A Clostridium perfringens

‧ enteritis necroticans    (괴사성장염)

     : 소장의 괴사

     : type C Clostridium perfringens

‧ antibiotic associated diarrhea

     : 항생제 복용으로 나타나는 가벼운 설사

     : Clostridium difficle


4) Diagnosis

‧ 세균을 분리하여, 모양 및 성질을 비교

     : blood agar plate나 egg yolk agar plate에서 배양한 후,

     : 용혈반응이나 효소활성을 측정

‧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butyric acid 생성을 확인 (그림 46-1)

‧ serological test


5) Treatment

‧ 오염된 상처조직을 제거하고,

‧ 항생제를 과량 정맥 주사

     : penicillin, clindamycin, chloramphenicol, metronidazole

‧ oxygen tank의 이용

‧ polyvalent antitoxin treatment



2. Clostridium botilinum


‧ botilism의 원인균

     : 음식물에 이미 형성된 독소를 섭취하여 생긴 식중독

     : 고기통조림이나 소세지



1) 모양및 성질

‧ 토양이나 동물의 소장에 서식하는 그람 양성의 포자형성 혐기성 세균

‧ botulinum이라는 독소를 생산

     : 면역학적 성질에 따라 8 가지 형이 있다

     : type A에 의해 주로 질병이 발생

‧ spore는 어느 정도 열에 안정하나 독소는 열에 불안정


2) Botulinum Toxins

‧ 파상풍 독소와 유사하나 그 작용결과가 다르다.

‧ Botulinum 독소는 neurotoxin으로 주로 말초신경에 작용 (peripheral nervous system)

     : neuromuscular junction 에 작용하여 마비를 유도

    

 : 알려진 독소 중에 가장 강력하다

‧ 150 KDa 정도의 단백질

     : 장의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독소의 작용을 나타낸다

     : H chain (수용체의 역할)

     : L chain (독소활성 부위)



3) Pathogenesis

‧ 독소를 가지고 있는 식품을 섭취함으로서 시작

     : 독소는 위산이나 소화효소에 의해 불활성화 되지 않는다

‧ 장에서 흡수되어, 혈액을 따라 근신경말단 (neuromusclar junction)이나 말초자율신경절에 도달한다

     : H chain에 의해 독소가 세포내로 들어가고,

     : 세포에서 acetyl choline의 방출이 억제

     : 마비를 유발

‧ 보툴리즘식중독 (Food-borne Botulism)

     : preformed clostridial toxin를 섭취하여 생기는 질병

     : 독소가 장에서 흡수되어 혈액을 통하여 신경에 전달

     : 신경절의 presynaptic stimulatory terminal에서 neurotransmitter acetylcholine 방출을 억제

     : weakness, dizziness, nausea, vomiting

     : 시력감퇴, 동공의 확산, 연하불능, 언어장애, 배뇨곤란, 호흡장애 등의 신경증상이 나타난다

‧ wound botulism (창상 botulism)

     : 드문 질병이나, 정맥용 마약 사용자에서 발생

‧ infant botulism

     : 2-36주 정도의 유아들에서 꿀을 복용했을 때 발생

     : sudden infant death와 연관


5) Diagnosis

‧ 독소의 작용을 관찰

     : cell free extract를 생쥐에 주사하여 생쥐 치사를 관찰

‧ antitoxin을 이용한 neutralization을 관찰

          

6) Treatment

‧ antitoxin을 투여

‧ 관장 (enemas), 하제 투여 (cathartics), gastric lavage등을 이용하여 독소를 씻어낸다

‧ wound botulism의 경우 penicillin을 투여


7) prevention

‧ 가정에서 캔식품을 만든 경우 섭취 전에 반드시 끓여먹는다

‧ 보존재로서 sodium nitrite를 사용한다

‧ polyvalent toxoid vaccine의 접종


3. Clostridium tetani


‧ 경련성 근육마비 증세를 보이는 파상풍 (tetanus)의 원인균

     : 높은 치사율

‧ 약독소 (toxoid) 백신의 보급으로 그 발생이 줄어듬 

     

1) 모양및 성질

‧ anaerobic gram positive rod

‧ 세포의 끝 부분에 포자형성

‧ 토양이나 동물의 배설물에 존재


2) 독소

‧ botulinum 독소보다 약간 약한 치사 독소

     : plasmid에 의해 만들어지며, 약 150 KDa정도의 단백질

‧ 신경세포의 ganglioside에 결합하여, inhibitory neurotransmitter의 방출을 방해

     : glycine과 γ-amino butyric acid

     : spinal motor neuron의 정상적인 억제가 불가능하여 근육의 경련성 마비


3) Pathogenesis

‧ C. tetani spore에 오몀된 small puncture wound에 의하여 감염

     : 대개의 경우 염증반응 정도로 진행되나, 상처부위의 국소적인 산소분압이 낮아지면,

     : Clostridium tetani가 성장하여, 독소를 생산

‧ 독소가 신경을 따라 중추신경계로 침투하면, 전신성 파상풍이 발생

‧ 수의근의 통증성 경련과 경직이 유도


4) Disease

‧ 전신성 파상풍 (generalized tetanus)

     : 개구불능 (lockjaw), 연하불능 등등

     : 호흡곤란으로 사망까지 가능

‧ 국소 파상풍 (localized tetanus)

     : 감염된 부위의 국소적인 spasm


5) Diagnosis

‧ 임상적 관찰


6) treatment, prevention

‧ 조속한 antitoxin treatment

     : equine antitoxin

     : human tetanus immunoglobulin (TIG)

‧ antitoxin 처치 후, 상처부위를 수술하여 제거

‧ 근육의 spasm을 경감하기 위하여 근이완제도 투여

‧ toxoid vaccine에 의한 예방법

     : DPT

     : 생 후 2, 4, 6 개월, 1년, 취학시 한번씩 접종

     : 그 후 매 10년에 한번씩 DT를 접종

 

출처 : www.mediver.com/bbs/view.php?i